2002년도 추계총회 특별발표 분야 안내 |
블록 공중합체 |
고분자관련 교과서에서 열가소성탄성체나 블랜드의 상용화제 등으로 그 응용성을 기술하고 있는 블록 공중합체는 요즈음 미세 상분리된 구조를 나노소재의 패턴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추세에 힘입어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빠른 속도로 발전한 다양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방법, 정밀 분석방법들은이러한 연구발전을 가속시키고 있습니다. 본 심포지엄에서는 블록 공중합체를 대상으로 한 전 분야에 걸쳐국내외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tutorial course를 겸한 연구발표의 장을 만들어 보려 합니다.다루고자하는 분야에는 상분리거동에 대한 이론 및 실험, 합성법, 분석법, 컴퓨터 모사실험, 용액, 벌크,계면에서의 자기조립현상 및 미세패턴화, 블록공중합체의 응용 등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관련 분야의 연구를수행하고 계시는 회원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주실 분들은 [email protected]로 생각하고 계신 주제를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Organizer : 포항공과대학교 장태현 교수> |
나노섬유 소재 |
21세기 첨단산업에서는 현재까지의 소재가 갖는 성능의 한계를 극복하여야 합니다. 즉, 현재의 성능을 초월하는 소재기술이 요구되는 바, 나노기술은 현재 기술수준의 장벽을 넘을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로서 그리고기존 물질의 변형·개조와 신물질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연구계 및 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있습니다. 1990년대 들어 여러 첨단 산업분야에서 나노기술의 급격한 부각과 함께 섬유분야에 등장한 나노섬유기술은 전통적인 섬유분야를 초월하여 IT & Electronic 산업, ET 산업, 및 BT 분야의 신기술 및 신소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국외에서 뿐만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점차 나노섬유기술에 대한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2002 추계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의 특별발표 분야에서 나노섬유의 관련제조기술과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섬유를 활용하는 응용연구결과들이 발표되어 서로 토론되고, 나아가 산학연 협동으로 나노섬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 축적이 이루어지길 바라면서 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적극적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Organizer: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성무 박사> |
고분자 합성 기술의 진보와 기능성 고분자 |
최근 이루어진 여러 방면의 고분자 합성 기술은 많은 종류의 새로운 형태의 고분자들의 제조를 가능하게만들어 주었고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고분자들의 합성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Controlled/Living RadicalPolymerization, Living Coordination Polymerization, Late Transition Metal Catalyzed CoordinationPolymerization, Precision Polycondensation, Metal Catalyzed Step Polymerization 등 최근의 고분자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분자량분포가 좁고 분자량이 세밀하게 조절된 Vinyl Homopolymers 및 Block Copolymers,Star-Shaped Polymer, Dendrimers, Polyolefin Block Copolymer 등의 고분자물질 뿐만이 아니라 dendritic 형태의 Conjugated Polymers, Polymeric Nanoparticle, 자기조립현상을 보여주는 Linear-Dendritic Block Copolymers 등의 고분자들이 합성되고 이들의 물성이 활발히 연구되고있다. 본 심포지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고분자들의 합성 뿐만이 아니라 이들이 나타내는 morphology, 자기조립현상, 전기광학적 성질 등 다양한 기능성에 관한 발표와 토론의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
<Organizer : 한국과학기술원 김상율 교수> |
산학협동 특별session (정보전자산업용 고분자소재) |
현재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동력원이 IT라 일컬어지는 정보전자산업임은 주지의 사실이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리라 예상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IT 강국으로 전 세계에 자리잡고 있지만 그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 및 부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매우 위험한 형태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잘알려진 사실입니다. 이에 국내 유수의 화학업체들도 정보전자용 고분자소재를 21세기의 핵심 성장 산업분야로 지정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분자학회는 금번 학회의 산학협동 특별session에서 국내 정보전자산업용 고분자소재를 주제로 정하고 해당 국내 기업들의 기술개발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을 개략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잠정적으로 결정된 발표주제는 다음과 같으며 관심있는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발표주제: 반도체용 Photo-resist, 반도체 봉지재, 기판재료, 디스플레이용 소재, 광통신용 소재, 정보저장용 소재, Li고분자전지 |
<Organizer : 성균관대학교 김진환 교수> |
LCD용 고분자 소재 |
액정 분자의 전압 응답 현상에 기인한 광투과도의 차이에 따라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소자(LCD)의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신규 구동 mode의 개발과 함께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유기 고분자 소재들의 고기능/고성능화가 크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LCD용 고분자 소재로서 사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으로는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높은 광투과성, LCD 제작 공정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200 ℃ 이상), 절연 특성, 및평탄화 특성 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현재 LCD에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유기 고분자 소재는 액정 배향기능을 갖는 배향막 (LC alignment layer), 평탄화층 (over coat), 고분자 스페이서 (polymeric spacer), 층간절연막 및 플라스틱 기판 등으로 다양하며, 요구 특성은 고분자 소재의 고기능화 기술에 의해 충족이 가능합니다. 본 심포지움에서는 현재 연구 개발이 수행되고 있는 LCD용 고분자 소재의 종류 및 특성에 관해토론하고, 신규 LCD 모드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신기능 고분자 소재의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 자합니다. 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
<Organizer : 한국화학연구원 이미혜 박사> |
고분자공학 교육 |
지식기반사회라는 21세기를 맞이한 지금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요구받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변화된새로운 시대를 선도해야 할 인재를 양성해야 할 책무를 지닌 교육현장은 개혁의 주체이자 대상이라는 점에서더욱이 고분자산업이 미래산업의 중심축임을 강조하는 우리들은 그에 상응하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해야 할책무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현장은 날이 갈수록 황폐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특정 학문분야에서일어나고 있는 교실붕괴 현상이나, 최근 가시화되고 있는 이공계 기피현상은 고분자공학 분야가 결코 안전지대에 있지 않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지식생산 체제가 확립되고 있는 시기에 대학만이 우수인력의 사회배출 책임을 감당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지금은 산업체, 연구소, 대학인 모두가 교육문제를 함께 염려하고 해결책을 모색해야만 할 중대한 시점입니다. 대학교육의 황폐화로 인한 피해는 산업으로, 대학원으로 확산되며 이로 인한 대학원 교육의 질적 저하는 산업분야 및 연구소의 경쟁력 약화와 학문분야의 인기하락으로연계됨으로써 악순환의 고리가 시작될 것입니다. 고분자공학 교육이라는 주제는 너무나 포괄적이고 모호할 뿐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너무나 벅찬 과제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으는노력을 시작한다면 해결책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부디 회원 여러분들의 지대한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Organizer : 경북대학교 민경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