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2002년 2월 7일 13:00-18:10
장소: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주최: 광주과학기술원
후원: 한국고분자학회 분자전자부문 위원회
한국고분자학회 호남지부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유기광전자 연구실
초대의 글
유기광전자 분야는 지난 20년간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발전의 속도를 한층 더 하고 있습니다. 전도성고분자와 비선형광학을 거쳐 광굴절, 이광자흡수, optical limiter, 광변색, 광정보저장, 선형광학 등 연구의 다양성 또한 넓어지고 있으며 유기물 전기발광에 이르러서는 실제 제품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에 더해진 유기물을 이용한 트랜지스터와 태양전지는 유기물 반도체의 연구 범위를 무기물 반도체와 대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작년도에는 분자 하나를 가지고 트랜지스터를 구현한 획기적인 결과가 보고되었고 이것을 Science지가 2001년도 과학기술의 breakthrough로 선정하였습니다. 이제까지 가능성 또는 필연성으로만 언급되던 분자전자학이 현실로 성큼 눈앞에 다가왔습니다. 진정한 나노기술이 우리의 분야에서 현실로 구현되고 있으며. 학문적으로 그리고 기술적으로 새로운 지평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제 분자 하나에서의 전자 transport를 다루어야 하며 분자의 조작기술은 더욱더 의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여기 광주과학기술원에서 급변하는 추세에 맞추어 조그마한 심포지움을 열려고 합니다. 이번의 심포지움은 유기광전자분야에서 새로운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주제에 촛점을 맞추어, 국내에서 해당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사들을 모시고 review 형태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김장주 배상
Program
13:00-13:10 등록
13:10-13:20 인사말씀 김낙중
Session 1 좌장: 이재석
13:20-14:00: Optical Memory
박수영교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14:00-14:40: 고분자 광도파로 소자 기술
이명현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40-15:20: 유기물 Transistor
김영관교수, 홍익대학교
15:20-16:00: 휴식 및 실험실 tour
Session 2 좌장: 한은미
16:00-16:40: 유기물 Solar Cell
이창희교수,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16:40-17:20: 고분자 전기인광 소자
김장주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17:20-18:00: Molecular Scale Electronics
이창진박사, 한국화학연구원
오시는길
비행기 (서울 (아시아나 11:00분 출발)과 제주), 고속버스 및 기차를 이용하시어 광주에 도착한 후 광주과학기술원까지는 택시를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택시요금은 광주역, 광주고속버스터미널, 광주공항 모두에서 약 7-8,000원입니다.
참가비:
사전등록: 일반: 3만원, 학생: 1만원
현장등록: 일반: 4만원, 학생: 2만원
사전등록
참가자의 수를 파악하는 것은 심포지움을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참가하실 분들은 참가비를 입금하신 후 아래의 연락처로 이름과 소속기관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이화숙 전화: 062-970-2377, fax: 062-970-2304 e-mail: [email protected] 입금구좌: 한빛은행 347-036742-02-002 예금주: 이화숙
2 | 03 Pusan-Kyeongnam/Kyushu-Seibu Joint Symposium on High Polymers (11th) and Fibers (9th) | 관리자 | 2003-07-02 | 9995 |
▶ | 분자전자부문위원회 정기 세미나 안내 | 관리자 | 2002-01-24 | 7529 |